본문 바로가기
이슈

알츠하이머 의혹? 치매 관련주의 상황은?

by 총천연 2022. 7. 29.
반응형

오늘은 알츠하이머와 관련된 뉴스를 비롯해 그와 관련된 주식 정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츠하이머 의혹 이슈, 도대체 무슨 일이길래?

최근 알츠하이머 병과 관련하여 커다란 이슈가 있었습니다. 외국의 신경과학자 Matthew Schrag 알츠하이머 병과 관련된 어떤 논문의 조작을 밝혀낸 것이었죠.

https://www.science.org/content/article/potential-fabrication-research-images-threatens-key-theory-alzheimers-disease

(관련 이슈를 다루고 있는 사이언스지 원문)

문제를 발견하게 논문은 2006년도 네이쳐 지에 게재된 Karen Ashe 그룹의 논문이었습니다.

https://www.nature.com/articles/nature04533

(해당 네이쳐지 원문)

원본 논문의 내용은 이러한 것이었습니다. 원래 알츠하이머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 본디 아밀로이드는 구조체의 이름이고, 축적된 amyloid plaque이라고 설명해야 맞지만, 한글로는 편히 아밀로이드라고 부르겠습니다. 개중에서도 56kDa 무게를 지닌 아밀로이드가 가장 해롭고, 기억력을 해친다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논문에 실린 이미지가, 쉽게 말하자면 소위 복사 붙여넣기를 이미지였다고 합니다.

 

혹자는 그렇게 말씀하실 수도 있습니다. 아니 이미지를 복사 붙여넣기 했는데, 이제야 이걸 안다고? 다들 헛똑똑이들 아니야?

 

사실, 그게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 생명과학에서 널리 쓰이는 이미지가 일반적인 사진이 아니고, 웨스턴 블랏(Western blot)이라는 실험이라면 더욱 그렇습니다.

 

여러 줄에 걸쳐서 있는 밴드가 일견 이상해 보이지 않는다면, 누구도 깊이 들여다보며 이게 조작인지 아닌지 알아볼 생각은 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런데 Matthew Schrag 실험 기존의 결과와 다른 부분을 목격하고 문제를 제기하게 것입니다.

 

그러나 여기에서 이차적으로 일이 발생합니다.

 

그룹의 조작 때문에 다른 모든 사람의 연구 결과가 가짜가 아니냐고 매도당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스탠포드 대학교의 교수이자, 노벨상 수상자이기도 Thomas Sudhof 이렇게 말합니다.

명백한 문제는 이미 낭비한 돈과 분야에 낭비된 생각에 있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논문에서부터 생각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어떤 부분은 맞고, 어떤 부분은 아닙니다. 제가 감히 노벨상 수상자인 슈도프 교수님의 말씀을 부정하려는 것은 아닙니다만, 다른 관계자의 말을 빌려 평가하자면 이렇습니다.

이건 특정한 아밀로이드에만 국한된 문제야! 모든 아밀로이드에 대해 걸쳐진 실험이 아니라고!”

 

하버드 대학교의 교수인 Bernardo Sabatini 말입니다.

 

사실이 그렇습니다. 외신에서부터 퍼진 소문은 국내에도 그렇게 퍼져 나가고 있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미심쩍었던 아밀로이드 관련 치료제 Aduhelm 위치가 공고하지 않았던 까닭에 아밀로이드가 알츠하이머의 원인이라고 말하고 있는 아밀로이드 가설 자체가 위협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Bernardo Sabatini 말처럼 일은 특정 아밀로이드에만 국한된 문제이고, 조금 넓게 보더라도 Karen Ashe 그룹의 문제입니다.

 

이미 여러 그룹에서 비슷한 종류의 논문을 많이 출판하였고, 56kDa 아밀로이드가 유독 위험하다는 내용은 몰라도, 아밀로이드가 기억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수없이 많은 과학자들과 그들이 논문에 의해서 증명된 내용입니다.

 

지금도 Bernardo Sabatini 같은 과학자들이 많이 목소리를 내고 있으므로 언젠가는 종식될 논란이라고 생각하지만, 한동안은 시끄러울 같은 내용에서 부디 조금 업계 사정을 알고 계셨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그렇다면 관련주는 어떨까?

 

사실 회사들의 입장에서는 날벼락이나 다름없습니다. 그러나 개미들의 입장에서 이런 악재는 나쁘지 않은 이야기지요.

 

특히 언젠가는 다시 원상복귀될 악재라면 지금이 오히려 사들이기에는 좋은 시기일 있기 때문입니다!

개중에서도 아밀로이드와 관련된 약을 취급하는 메디프론, 에이비엘바이오 등을 주목하시는 나쁘지 않을 있습니다.

 

메디프론은 직접적으로 아밀로이드의 독성을 막는 약을 개발하고 있다고 파이프라인 소개를 하고 있습니다.

메디프론의 주가는 아래와 같습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AB301 같이 파킨슨 병과 관련한 것에 주력을 하고 있지만, 소개하고 있는 그랩바디B 경우 아밀로이드뿐만 아니라 외의 물질을 표적으로 하는 데에도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사가 본격적으로 나기 시작한 7 21 이후 떨어진 주가에는 애도를…)

에이비엘바이오의 주가는 아래와 같습니다.

 

외에 해외 주식에도 관심을 두신다면, 일라이 릴리와 같은 무너지지 않는 기업에 시선을 두시는 것이 좋을 같습니다.

 

Aduhelm 의해서 피해를 많이 입었지만, 바이오젠이 망하지는 않을 같으니, 바이오젠과, 공동 개발진인 에자이에도 관심을 두신다면, 지금이 투자하기에 적기일 수도 있겠습니다.

 

일라이 릴리, 바이오젠, 에자이의 주식은 순서대로 아래에 있습니다.

 

에자이 주식. 출처. 네이버 주식.

 

이상으로 알츠하이머와 관련된 의혹 및 이슈와 치매 관련주를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